우르남무 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르남무 법전은 기원전 2112년에서 2095년 사이 우르 제3왕조의 왕 우르남무 치세에 반포된 것으로 추정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성문법이다. 이 법전은 니푸르, 우르, 시파르 등지에서 발견된 토판 조각들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서문과 함께 살인, 강도, 납치, 성범죄, 이혼, 상해, 토지 관련 등 다양한 범죄에 대한 처벌 조항을 담고 있다. 우르남무 법전은 "만약 ~ 하면, ~ 한다"는 사례법 형식을 따르며, 함무라비 법전과 달리 신체적 피해에 대한 손해 배상에 중점을 두었다. 이 법전은 당시 사회 구조, 즉 자유민과 노예 계층의 존재와 사회 규범을 보여주며, 고대 사회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1세기 문학 - 수메르 왕명표
수메르 왕명표는 고대 수메르 도시들을 다스린 왕들과 통치 기간을 기록한 문헌으로, 왕권이 도시 간 이동했다는 개념과 대홍수 이전 신화적 왕, 이후 역사적 왕을 포함하고 있어 연대기 구성에 중요하지만 역사적 신뢰성 논쟁이 있다. - 고대 법전 -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법전은 함무라비 왕이 제정한 법전으로, 아카드어 쐐기문자로 새겨진 282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당시 사회 규범을 담고 있으나, 계층에 따른 차별적 법 적용으로 현대적 법치주의 관점에서는 한계를 지닌다는 비판도 받는다. - 고대 법전 - 다르마샤스트라
다르마샤스트라는 고대 인도 법전 문학으로, 넓게는 기원전 2천년기부터 기원후 12세기까지의 법전을 포괄하고 좁게는 특정 시기의 산스크리트 운문 법전을 지칭하며, 다르마(의무, 윤리, 법)에 관한 규범과 관습, 사법 절차, 속죄 등의 영역을 다루고 역사적, 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수메르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우르남무 법전 | |
---|---|
개요 | |
![]() | |
위치 |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Ni.3191) (원래 니푸르, 메소포타미아 (현대 이라크)) |
제작 시기 | 기원전 2100년경–2050년경 |
작가 | 우르-남무 |
목적 | 법전 |
2. 발견
1952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 중이던 니푸르 출토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사본 두 조각(Ni 3191)을 발견하고 번역하였다. 이 조각들에는 긴 서문과 5개의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크레이머는 라이덴 대학교의 설형 문자 연구 교수 F. R. 크라우스의 편지가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사무엘 크레이머는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된다"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나는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의 설형 문자 연구 교수인 F. R. 크라우스의 적절한 편지가 없었다면 아마 우르남무 법전을 전혀 발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의 편지에는 몇 년 전 이스탄불 박물관의 큐레이터로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수메르 법이 새겨진 두 조각의 토판을 발견하여 두 조각을 '접합'했고, 그 결과물인 토판을 박물관의 니푸르 컬렉션 3191호로 분류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수메르 법전 토판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나는 3191호를 즉시 내 작업 테이블로 가져오게 했다. 그곳에 그것이 놓여 있었는데, 햇볕에 구워진 토판으로, 밝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크기는 20cm x 10cm였다. 글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고, 처음에는 보존된 부분도 절망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 보였다. 그러나 며칠간 집중적인 연구를 한 후, 그 내용이 명확해지고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나는 손에 들고 있는 것이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오래된 법전의 사본이라는 것을 흥분하며 깨달았다.
1965년에는 우르에서 발견되어 이라크 박물관에 소장된 두 개의 추가적인 토판 조각(IM 85688+85689)이 번역되어, 서문이나 결론 형식이 없이 57개의 조항 중 약 30개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시파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사본 중 하나(Si 277)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문과 125-79행이 적혀 있다. 다른 하나(BM 54722+)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항과 결론 형식의 일부가 적혀 있다.
2. 1. 니푸르 발굴 조각
1952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 중이던 니푸르 출토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사본 두 조각(Ni 3191)을 발견하고 번역하였다. 이 조각들에는 긴 서문과 5개의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크레이머는 라이덴 대학교의 설형 문자 연구 교수 F. R. 크라우스의 편지가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사무엘 크레이머는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된다"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나는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의 설형 문자 연구 교수인 F. R. 크라우스의 적절한 편지가 없었다면 아마 우르남무 법전을 전혀 발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의 편지에는 몇 년 전 이스탄불 박물관의 큐레이터로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수메르 법이 새겨진 두 조각의 토판을 발견하여 두 조각을 '접합'했고, 그 결과물인 토판을 박물관의 니푸르 컬렉션 3191호로 분류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수메르 법전 토판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나는 3191호를 즉시 내 작업 테이블로 가져오게 했다. 그곳에 그것이 놓여 있었는데, 햇볕에 구워진 토판으로, 밝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크기는 20cm x 10cm였다. 글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고, 처음에는 보존된 부분도 절망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 보였다. 그러나 며칠간 집중적인 연구를 한 후, 그 내용이 명확해지고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나는 손에 들고 있는 것이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오래된 법전의 사본이라는 것을 흥분하며 깨달았다.
2. 2. 우르 발굴 조각
1952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현재 이라크에 위치한 니푸르에서 발견된,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된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의 두 조각의 사본(Ni 3191)을 번역했다. 이 조각들로 긴 서문과 5개의 조항을 식별했다. 1965년에는 우르에서 발견되어 이라크 박물관에 소장된 두 개의 추가적인 토판 조각(IM 85688+85689)이 번역되어, 서문이나 결론 형식이 없이 57개의 조항 중 약 30개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시파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사본 중 하나(Si 277)는 이스탄불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문과 125-79행이 적혀 있다. 다른 하나(BM 54722+)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항과 결론 형식의 일부가 적혀 있다.2. 3. 시파르 발굴 조각
시파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사본 중 하나(Si 277)는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문과 125-79행이 기록되어 있다. 다른 하나(BM 54722+)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항과 결론 형식의 일부가 기록되어 있다.3. 배경
서문은 이 법을 우르의 왕 우르남무(기원전 2112–2095년)의 것으로 직접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 법을 쐐기 문자로 기록한 저자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일부 학자들은 우르남무의 아들 슐기의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우루카기나 법전과 같은 더 이른 법전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지만, 이 법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률 문서이다. 이는 함무라비 법전보다 3세기나 앞선다. 이 법은 IF(범죄) THEN(처벌)의 사례법 형식을 따르는데, 이는 거의 모든 후대의 법전에서 나타나는 패턴이다. 이 법은 이후의 바빌로니아 법의 ''동해보복''('눈에는 눈') 원칙과는 달리, 신체적 피해에 대한 금전적 손해 배상의 벌금을 부과했다. 그러나 살인, 강도, 간통 및 강간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
이 법전은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사회 구조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루갈''(위대한 사람 또는 왕) 아래에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두 가지 기본 계층 중 하나에 속했다. 즉, 자유인인 ''루''와 노예(남성, ''아라드''; 여성 ''게메'')였다. ''루''의 아들은 그가 결혼하기 전까지 ''두무-니타''라고 불렸고, 결혼하면 "젊은이"(''구루스'')가 되었다. 여성(''무누스'')은 딸(''두무-미'')에서 아내(''담'')로, 그 다음에는 남편보다 오래 살면 과부(''누-마-수'')가 되어 재혼할 수 있었다.
3. 1. 우르 제3왕조와 우르남무
우르남무 법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률 문서로, 우르 제3왕조를 건국한 우르남무 왕(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95년 재위) 때 반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문에는 우르남무 왕이 난나와 우투 신의 권위를 빌려 "땅의 공정함"을 선포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우르남무는 아카드 제국 멸망 후 혼란기를 극복하고 수메르를 통일하여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였다. 그는 저주, 폭력, 갈등을 추방하고 월간 사원 비용을 보리 90 구르, 양 30마리, 버터 30 실라로 정했다. 또한, 청동 실라 측정을 만들고, 1 미나 무게를 표준화했으며, 1 미나에 대한 세겔 은의 돌 무게를 표준화했다.
우르남무 법전은 사례법 형식을 따르며, 살인, 강도, 간통, 강간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지만, 신체적 피해에 대해서는 금전적 손해 배상을 부과하여 동해보복 원칙을 따르지 않았다.
이 법전은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사회 구조를 보여주는데, 사회 구성원은 자유인 ''루''와 노예(남성 ''아라드'', 여성 ''게메'')로 나뉘었다. ''루''의 아들은 결혼 전까지 ''두무-니타'', 결혼 후에는 ''구루스''라고 불렸으며, 여성(''무누스'')은 딸(''두무-미'')에서 아내(''담''), 과부(''누-마-수'') 순으로 지위가 바뀌었다.
3. 2. 법전 저자 논쟁
서문은 이 법을 우르의 왕 우르남무(기원전 2112–2095년)의 것으로 직접적으로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법을 쐐기 문자로 기록한 저자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일부 학자들은 우르남무의 아들 슐기의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4. 내용
안과 엔릴이 우르의 왕권을 난나에게 넘긴 후, 닌순에게서 태어난 우르남무는 그의 평등과 진리의 원리에 따라 나라에 평등을 성취하였다. 그는 악덕과 폭력, 헐벗음을 근절하고, 사원의 월간 비용을 보리 90 구르, 양 30마리, 버터 30 실라로 설정하였다. 그는 청동 실라 단위를 유행시켰고, 1 미나의 무게를 표준화하였으며, 1 미나와 관련 은의 세겔의 돌무게를 표준화하였다. 고아는 부유한 이에게 보내지지 않았고, 과부는 힘센 이에게 보내지지 않았으며, 1세겔의 사람은 1미나의 사람에게 보내지지 않았다.
우르남무 법전은 "만약(If)...(범죄) ...하면(Then)...(처벌)" 형식의 사례법(Casuistry)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이는 이후 대부분의 법전에서 나타나는 패턴이다.
현존하는 법 조항은 다음과 같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살인을 저지르면, 그 사람은 사형에 처해져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강도를 저지르면, 그는 살해될 것이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납치를 저지르면, 그는 투옥되어 은 1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고, 그 노예가 자유롭게 되면, 그는 가정을 떠나지 못한다.
- 만약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그는 맏아들을 소유주에게 넘겨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고 젊은 남자의 처녀 아내를 겁탈하면, 그 남자를 죽여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의 아내가 다른 남자를 따라가서 그와 잠자리를 함께 하면, 그 여자를 죽여야 하지만 그 남자는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폭력을 행사하여 다른 남자의 처녀 노예를 겁탈하면, 그 남자는 은 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가 처음 결혼한 아내와 이혼하면, 그는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그가 이혼하는 대상이 (이전의) 과부라면, 그는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그 남자가 결혼 계약 없이 과부와 잠자리를 함께 했다면, 그는 어떤 은도 지불할 필요가 없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주술을 행했다고 비난을 받으면, 그는 물로 신명재판을 받아야 한다. 만약 그가 무죄로 판명되면, 그를 고발한 사람은 은 3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가 다른 남자의 아내를 간통죄로 고발했고, 강물 신명재판에서 그녀가 무죄로 판명되면, 그 여자를 고발한 남자는 은 3분의 1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장래의 사위가 장인이 될 사람의 집에 들어갔지만, 장인이 나중에 그의 딸을 다른 남자에게 주면, 장인은 거절당한 사위에게 그가 가져온 신부 지참금의 두 배를 돌려줘야 한다.
- 만약 노예가 도시 경계 밖으로 도망가고 누군가가 그를 돌려보내면, 소유주는 그를 돌려보낸 사람에게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뺐으면, 그는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발을 잘랐으면, 그는 은 10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싸움 중에 다른 사람의 팔다리를 몽둥이로 부쉈다면, 그는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구리 칼로 다른 사람의 코를 베었다면, 그는 은 3분의 2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이를 부러뜨리면, 그는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의 여자 노예가, 그녀의 여주인과 비교하면서, 그녀에게 무례하게 말하면, 그녀의 입은 소금 1쿼트로 씻겨져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증인으로 나타났고, 위증자로 밝혀지면, 그는 은 1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증인으로 나타났지만, 그의 맹세를 철회하면, 그는 소송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몰래 다른 사람의 밭을 경작했고 그가 불만을 제기하면, 이것은 거부되어야 하며, 이 사람은 자신의 비용을 잃게 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밭에 물을 댔다면, 그는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측정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경작할 수 있는 밭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었지만, 그가 그것을 경작하지 않고 황무지로 만들었다면, 그는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측정해야 한다.
우르남무 법전은 당시 사회가 '루갈'(왕) 아래 자유민('루')과 노예(남성: '아라드', 여성: '게메')의 두 계층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자유민 남성은 결혼 전에는 '두무-니타', 결혼 후에는 '구루스'로 불렸으며, 여성은 딸('두무-미'), 아내('담'), 과부('누-마-수')의 단계를 거쳤다.
당시 사회는 자유민과 노예로 계층이 나뉘어 있었다.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여 자유롭게 되어도, 가정을 떠나지 못했다. 이는 주인이 노예 가족 부양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자유롭게 된 노예를 쫓아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노예는 결혼을 위해 주인의 동의가 필요했고, 자유인이 되어도 가구 구성원으로서 그들과 가족은 가구에 의해 부양되어야 했다. 만약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맏아들을 소유주에게 넘겨야 했다.
우르남무 법전의 현존하는 주요 법 조항은 다음과 같다.
- 살인 및 강도: 살인과 강도는 사형에 처해졌다.
- 납치: 납치범은 투옥되고 은 1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노예:
-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여 자유롭게 되어도 가정을 떠날 수 없었다.
-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맏아들을 주인에게 넘겨야 했다.
- 도시 경계를 넘어 도주한 노예를 돌려보낸 자에게 주인은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했다.
- 성범죄:
-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여 젊은 남자의 처녀 아내를 겁탈하면 가해 남성은 사형에 처해졌다.
- 남의 아내가 다른 남자를 따라가 동침하면 그 여자는 사형에 처해졌지만, 남자는 석방되었다.
- 다른 사람의 처녀 노예를 폭력으로 겁탈하면 은 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이혼:
- 남자가 처음 결혼한 아내와 이혼하면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했다.
- 이혼하는 대상이 이전의 과부였다면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했다.
- 결혼 계약 없이 과부와 동침한 경우에는 은을 지불할 필요가 없었다.
- 주술 및 무고: 주술 혐의는 물을 이용한 신명재판으로 판결했으며, 무고한 자는 은 3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간통: 남자가 아내를 간통으로 고소하고 강물 신명재판에서 무죄가 증명되면, 고소한 남자는 은 3분의 1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약혼: 약혼 후 장인이 딸을 다른 남자에게 주면, 가져간 선물의 두 배를 돌려주어야 했다.
- 상해:
- 다른 사람의 눈을 멀게 하면 은 반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다른 사람의 발을 자르면 은 10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싸움 중에 몽둥이로 다른 사람의 팔다리를 부러뜨리면 은 1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구리 칼로 다른 사람의 코를 베면 은 3분의 2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다른 사람의 이를 부러뜨리면 은 2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노예 관련: 여자 노예가 여주인에게 무례하게 말하면 입을 소금 1쿼트로 씻어야 했다. 다른 사람의 노예를 살해한 경우, 노예가 없으면 은 10 시켈 없다면 다른것으로 배상한다.
- 위증: 증인이 위증하면 은 1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맹세 철회: 증인이 맹세를 철회하면 소송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배상해야 했다.
- 토지 관련:
- 다른 사람의 밭을 몰래 경작하고 불만이 제기되면 비용을 잃게 된다.
- 다른 사람의 밭에 물을 대면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배상해야 한다.
- 경작 가능한 밭을 빌려주고 경작하지 않아 황무지로 만들면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배상해야 한다.
이 법은 동해 복수법을 따르는 함무라비 법전과 달리 손해 배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수메르에는 주조 화폐가 없었기 때문에 손해 배상은 은의 칭량 화폐로 이루어졌으며, 제정된 손해 배상의 은 거래 단위는 세겔이었다.
4. 1. 법의 형식과 특징
우르남무 법전은 "만약(If)...(범죄) ...하면(Then)...(처벌)" 형식의 사례법(Casuistry)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이는 이후 대부분의 법전에서 나타나는 패턴이다.현존하는 법 조항은 다음과 같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살인을 저지르면, 그 사람은 사형에 처해져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강도를 저지르면, 그는 살해될 것이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납치를 저지르면, 그는 투옥되어 은 1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고, 그 노예가 자유롭게 되면, 그는 가정을 떠나지 못한다.
- 만약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그는 맏아들을 소유주에게 넘겨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고 젊은 남자의 처녀 아내를 겁탈하면, 그 남자를 죽여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의 아내가 다른 남자를 따라가서 그와 잠자리를 함께 하면, 그 여자를 죽여야 하지만 그 남자는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폭력을 행사하여 다른 남자의 처녀 노예를 겁탈하면, 그 남자는 은 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가 처음 결혼한 아내와 이혼하면, 그는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그가 이혼하는 대상이 (이전의) 과부라면, 그는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그 남자가 결혼 계약 없이 과부와 잠자리를 함께 했다면, 그는 어떤 은도 지불할 필요가 없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주술을 행했다고 비난을 받으면, 그는 물로 신명재판을 받아야 한다. 만약 그가 무죄로 판명되면, 그를 고발한 사람은 은 3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가 다른 남자의 아내를 간통죄로 고발했고, 강물 신명재판에서 그녀가 무죄로 판명되면, 그 여자를 고발한 남자는 은 3분의 1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장래의 사위가 장인이 될 사람의 집에 들어갔지만, 장인이 나중에 그의 딸을 다른 남자에게 주면, 장인은 거절당한 사위에게 그가 가져온 신부 지참금의 두 배를 돌려줘야 한다.
- 만약 노예가 도시 경계 밖으로 도망가고 누군가가 그를 돌려보내면, 소유주는 그를 돌려보낸 사람에게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뺐으면, 그는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발을 잘랐으면, 그는 은 10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싸움 중에 다른 사람의 팔다리를 몽둥이로 부쉈다면, 그는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구리 칼로 다른 사람의 코를 베었다면, 그는 은 3분의 2 미나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이를 부러뜨리면, 그는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남자의 여자 노예가, 그녀의 여주인과 비교하면서, 그녀에게 무례하게 말하면, 그녀의 입은 소금 1쿼트로 씻겨져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증인으로 나타났고, 위증자로 밝혀지면, 그는 은 15세겔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증인으로 나타났지만, 그의 맹세를 철회하면, 그는 소송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몰래 다른 사람의 밭을 경작했고 그가 불만을 제기하면, 이것은 거부되어야 하며, 이 사람은 자신의 비용을 잃게 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밭에 물을 댔다면, 그는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측정해야 한다.
- 만약 어떤 사람이 경작할 수 있는 밭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었지만, 그가 그것을 경작하지 않고 황무지로 만들었다면, 그는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측정해야 한다.
4. 2. 사회 구조
우르남무 법전은 당시 사회가 '루갈'(왕) 아래 자유민('루')과 노예(남성: '아라드', 여성: '게메')의 두 계층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자유민 남성은 결혼 전에는 '두무-니타', 결혼 후에는 '구루스'로 불렸으며, 여성은 딸('두무-미'), 아내('담'), 과부('누-마-수')의 단계를 거쳤다.당시 사회는 자유민과 노예로 계층이 나뉘어 있었다.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여 자유롭게 되어도, 가정을 떠나지 못했다. 이는 주인이 노예 가족 부양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자유롭게 된 노예를 쫓아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노예는 결혼을 위해 주인의 동의가 필요했고, 자유인이 되어도 가구 구성원으로서 그들과 가족은 가구에 의해 부양되어야 했다. 만약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맏아들을 소유주에게 넘겨야 했다.
4. 3. 주요 법 조항 (현존하는 조항)
우르남무 법전의 현존하는 주요 법 조항은 다음과 같다.- 살인 및 강도: 살인과 강도는 사형에 처해졌다.
- 납치: 납치범은 투옥되고 은 1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노예:
- 노예가 다른 노예와 결혼하여 자유롭게 되어도 가정을 떠날 수 없었다.
- 노예가 자유인과 결혼하면 맏아들을 주인에게 넘겨야 했다.
- 도시 경계를 넘어 도주한 노예를 돌려보낸 자에게 주인은 은 2세겔을 지불해야 했다.
- 성범죄:
-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여 젊은 남자의 처녀 아내를 겁탈하면 가해 남성은 사형에 처해졌다.
- 남의 아내가 다른 남자를 따라가 동침하면 그 여자는 사형에 처해졌지만, 남자는 석방되었다.
- 다른 사람의 처녀 노예를 폭력으로 겁탈하면 은 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이혼:
- 남자가 처음 결혼한 아내와 이혼하면 은 1미나를 지불해야 했다.
- 이혼하는 대상이 이전의 과부였다면 은 반 미나를 지불해야 했다.
- 결혼 계약 없이 과부와 동침한 경우에는 은을 지불할 필요가 없었다.
- 주술 및 무고: 주술 혐의는 물을 이용한 신명재판으로 판결했으며, 무고한 자는 은 3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간통: 남자가 아내를 간통으로 고소하고 강물 신명재판에서 무죄가 증명되면, 고소한 남자는 은 3분의 1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약혼: 약혼 후 장인이 딸을 다른 남자에게 주면, 가져간 선물의 두 배를 돌려주어야 했다.
- 상해:
- 다른 사람의 눈을 멀게 하면 은 반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다른 사람의 발을 자르면 은 10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싸움 중에 몽둥이로 다른 사람의 팔다리를 부러뜨리면 은 1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구리 칼로 다른 사람의 코를 베면 은 3분의 2 미나를 배상해야 했다.
- 다른 사람의 이를 부러뜨리면 은 2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노예 관련: 여자 노예가 여주인에게 무례하게 말하면 입을 소금 1쿼트로 씻어야 했다. 다른 사람의 노예를 살해한 경우, 노예가 없으면 은 10 시켈 없다면 다른것으로 배상한다.
- 위증: 증인이 위증하면 은 15세겔을 배상해야 했다.
- 맹세 철회: 증인이 맹세를 철회하면 소송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 배상해야 했다.
- 토지 관련:
- 다른 사람의 밭을 몰래 경작하고 불만이 제기되면 비용을 잃게 된다.
- 다른 사람의 밭에 물을 대면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배상해야 한다.
- 경작 가능한 밭을 빌려주고 경작하지 않아 황무지로 만들면 밭 1이쿠당 보리 3쿠르를 배상해야 한다.
이 법은 동해 복수법을 따르는 함무라비 법전과 달리 손해 배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수메르에는 주조 화폐가 없었기 때문에 손해 배상은 은의 칭량 화폐로 이루어졌으며, 제정된 손해 배상의 은 거래 단위는 세겔이었다.
5. 의의와 영향
5. 1. 세계 최고(最古)의 성문법
5. 2. 후대 법전에 미친 영향
5. 3. 고대 사회 연구에 기여
참조
[1]
서적
Cos II:409 Laws of Ur-Namma
[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